기혼샘 구약설교말씀

[시편 14편 히브리어 주석 강해] 무신론자를 심판하심(시 14:1-7)

기혼샘 2022. 5. 10. 11:17
반응형

시편 14편에서는 여호와 하나님께서 무신론자들을 심판하실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무신론자들은 하나님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어리석은 자들은 하나님의 심판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지금도 살아계십니다. 마지막 종말에 하나님의 심판은 반드시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심판을 준비해야 합니다. 믿음으로 준비하여 주님의 재림을 맞이해야 합니다.

 

무신론자를 심판하심(시 14:1-7)

 

1절 라메나체아흐 레다비드 아마르 나발 벨리보 엔 엘로힘 히쉐히투 히트이부 알릴라 엔 오세 토브

성 경: [14:1]

주제1: [어리석은 자의 실상]

주제2: [우악(愚惡)함의 근원인 무신론]

󰃨 어리석은 자는 그 마음에 이르기를 - '어리석은 자'는 다윗이 본시에서 자세히 규명하고자 하는 주제이다. '어리석은 자'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나발'은 그저 지혜가 부족한 자를 의미하지 않는다. 성경 전체에서 살펴볼 때, 이는 (1) 외면적으로 하나님을 부인하고 의로운 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한 가치 기준 없이 마음대로 행하는 자를 가리키며, (2) 내면적으로는 하나님과 언약 관계에 있지 아니한 자를 가리킨다(Craigie).

󰃨 하나님이 없다 하도다 - 이 표현은 10:4에서도 언급되었다. 그곳에서는 악인들의 말로 진술되었다. 따라서 본절의 '어리석은 자'는 악인, 곧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을 가리킨다.

󰃨 부패하고 - 곧 저들의 심령이 부패하여졌다는 말로서(6:12;32:7;13:7) 영적 생명력이 전혀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 소행(所行)이 가증하여 - 무신론 사상의 결과로 저들의 행위는 하나님 보시기에 증오의 대상이 될 만큼 타락하였다.

󰃨 선을 행하는 자가 없도다 -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 인격에서 선한 행위가 나올 리 없다. 여기서 언급된 ''에 대해 혹자는 구체적으로 이웃에 대한 선행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Kidner). 그러나 본 시편에는 이러한 해석의 근거가 불명확하다. 따라서 본절의 ''은 포괄적인 의미에서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성 경: [시14:1-7]

주제1: [어리석은 자의 실상]

주제2: [우악(愚惡)함의 근원인 무신론]

본 시편과 53편은 내용상 거의 같다. 한편 이 두 시편의 기록 연대의 전후 관계로에 대해서는 53편 주석과 강해를 참조하라.

2절 아도나이 미솨마임 히쉐키프 알 베네 아담 리르오트 하예쉬 마세킬 도레쉬 에트 엘로힘

성 경: [시14:2]

주제1: [어리석은 자의 실상]

주제2: [우악(愚惡)함의 근원인 무신론]

이 부분은 어리석은 자에 대한 하나님의 입장을 다루고 있다.

󰃨 여호와께서 하늘에서 인생을 굽어 살피사 - 하늘은 하나님의 보좌가 있는 곳이다. 하나님은 이곳에서 이 세상의 심판자 또는 왕으로서 인생을 살펴보신 것이다(7:6ff.; 11:4). 이는 히브리 시의 대표적인 표현 방법인 신인 동형 동성론적 표현이다.

󰃨 지각(知覺)이 있어 하나님을 채는 자가 있는가 보려 하신즉 - 여기서 '지각'은 영적인 지각을 가리킨다. 이 지각이 있어야 인간은 하나님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의 뜻을 깨닫고 그 뜻을 따라 행할 수 있다. 다윗은 본 구절의 시를 쓸 때, 노아 홍수 때(6:1-8)나 소돔과 고모라 당시(19:1-29)의 부패상을 상기했을 것으로 짐작되어진다(Kidner).

3절 하콜 사르 야흐다브 네엘라후 엔 오세 토브 엔 감 에하드

성 경: [시14:3]

주제1: [어리석은 자의 실상]

주제2: [우악(愚惡)함의 근원인 무신론]

본절은 하나님께서 인생을 살피신 후 최종적으로 내리신 판단에 대한 진술이다. 인간의 기준에 따르면 본절에 언급된 인간이 성공적이며 권세 있고 부요한 자로 판단될 수도 있었을 것이나 하나님께서는 정반대의 판단을 내리신다.

󰃨 다 치우쳤으며 - '치우쳤으며'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사르''제 고집대로 행하다', '완고하고 반항적이다'라는 뜻이다(32:8). 저들은 하나님의 뜻보다 제 고집대로 행한 것이다.

󰃨 없으니 하나도 없도다 - '없다'는 말()이 두 번 반복되어 이 세상에 의인이 하나도 없다는 사실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과장된 표현이 아니라 인간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지적한 것이다.

4절 할로 야드우 콜 포알레 아벤 오켈레 암미 오켈루 레헴 아도나이 로 카라우

성 경: [시14:4]

주제1: [어리석은 자의 실상]

주제2: [우악(愚惡)함의 근원인 무신론]

󰃨 죄악을 행하는 자는 다 무지하뇨 - 이 의문문에는 동사의 목적어가 생략되어 있기에 무엇에 대한 무지인지에 대해 분명하게 알 수 없다. 앤더슨(Anderson)은 이 무지의 목적어가 임박한 징계와 여호와에 대한 그들의 의무라고 주장하며, 알렉산더(J. A. Alexander)는 그들이 부패하여 하나님과 떨어져 있게 되어 하나님의 진노의 대상이 된 사실을 본 구절의 목적어로 취급한다. 한편, '무지하뇨'라는 동사는 완료형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악인들의 무지가 단회적인 것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계속된 반복적 행위였음을 지적하여 준다(Kraus).

󰃨 내 백성을 먹으면서 - '무지하뇨'란 동사와 마찬가지로 '먹으면서'도 완료형으로 이는 백성들 특히 가련한 자들을 매우 괴롭힌 악인들의 악행이 반복되었음을 지적해 주고 있다. 한편, 혹자는 본 구절이 하나님의 백성을 상품처럼 취급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하나(Craigie), 문맥상 그런 암시가 없다. 오히려 본 구절은 떡 먹듯이 백성들에게 악을 행한 것에 대한 표현으로 보아야 한다.

󰃨 여호와를 부르지 아니하는도다 - 이 구절은 앞의 구절과 연결시켜 고찰해야 한다. 즉, 그들은 오직 떡 먹듯이 쉽게, 그리고 항상 악을 행하는 데 익숙해 있기에 하나님을 원하지 아니했다는 것이다.

5절 솸 파하두 파하드 키 엘로힘 베도르 차디크

성 경: [시14:5]

주제1: [어리석은 자의 실상]

주제2: [우악(愚惡)함의 근원인 무신론]

12편에서와 마찬가지로 본절에 이르러 본시의 분위기가 갑자기 바뀌고 있다. 다윗은 아마도 이 순간에 환상을 보았거나 아니면 특별한 계시를 받은 것 같다(Kraus, Jeremias).

󰃨 저희가 거기서 두려워하고 두려워하였으니 - '거기서'는 본 문맥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불분명하다. 혹자는 장소적인 의미로 보아 악인들이 악행하는 '그곳에서'로 해석한다(Rawlinson). 그런가 하면 혹자는 시간적인 의미로 해석하여 '거기서'를 하나님께서 심판하실 '그때에'(then)로 해석한다(Delitzsch, Lange). 본래 '거기서'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쉠'은 시간적인 의미로나 장소적인 의미로나 모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위의 두 해석은 모두 가능하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53:5 주석을 참조하라.

󰃨 하나님이 의인의 세대(世代)에 계심이로다 - 여기서 '의인의 세대'란 어느 한 의로운 자의 한평생을 의미한다기보다는 하나님의 자녀들 전부를 의미하는 말이다. 왜냐하면 '세대'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도르'는 시간적인 개념으로 출생에서 죽음까지의 한 인간의 생존기간을 의미하거나 단순히 한 기간, 또는 시기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때로는 한 '집단'을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이다(TWOT). 하나님께서는 악인들에게는 심판의 형벌을 내리시지만 당신의 모든 백성들(의인의 세대)에게는 자비로 함께 하신다.

6절 아차트 아니 타비슈 키 아도나이 마흐세후

성 경: [시14:6]

주제1: [어리석은 자의 실상]

주제2: [우악(愚惡)함의 근원인 무신론]

󰃨 너희가 가난한 자의 경영(經營)을 부끄럽게 하나 - 여기서 '경영'이란 악인들의 핍박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고자 하는 의인의 의도나 계획을 의미한다. 악인들은 이러한 의도조차 처음부터 방해하고 나선 것이다. 여기서 '부끄럽게 하나'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보쉬''창피를 주다'라는 뜻이나 그 밖에도 '박살내다', '분쇄하다'라는 뜻도 있다. 여기서는 아마도 후자의 의미로 사용되었을 것이다(Kraus).

7절 미 이텐 미치욘 예슈아트 이스라엘 베슈브 아도나이 쉐부트 암모 야겔 야아코브 이세마흐 이스라엘

성 경: [시14:7]

주제1: [어리석은 자의 실상]

주제2: [우악(愚惡)함의 근원인 무신론]

12편과 같이 탄식으로 시작한 다윗은 구원에 대한 확실한 소망으로 본시를 마무리 짓는다.

󰃨 이스라엘의 구원이 시온에서 나오기를 원하도다 - '시온'은 하나님의 언약궤가 있는 곳이다. 하나님께서는 더 이상 소극적으로 시온에 앉아계시지 않고 이제 적극적으로 이스라엘의 구원을 성취하실 것이다(Craigie).

󰃨 여호와께서 그 백성의 포로 된 것을 돌이키실 때에 - 여기서 '포로 된 것'이란 바벨론 유수라는 역사적인 사건을 의미하는 말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이 악인들에게 억압당하는 상태를 상징하는 말이다(Calvin). 다윗은 이러한 억압의 상태에서 자기 백성을 건져주실 하나님의 구원을 확신하고 있는 것이다.

[신약 히브리어 성경 로마서]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의(롬 4:17-20)

 

[신약히브리어성경 로마서]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의(롬 4:17-20)

신약 히브리어 성경 로마서 4장에서는 아브라함의 의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습니다. 아브라함은 행위로 구원받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믿음으로 의롭다는 칭함을 받았습니다. 믿음의 조상이 된

kihonsam15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