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샘 기도자료

[유대인의 결혼문화] 신랑 가족이 신부의 아버지께 주는 מֹהַר (모하르) 풍습

기혼샘 2025. 5. 2. 13:14
반응형

모하르의 고대 이스라엘 문화 및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이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1. 모하르의 의미와 목적

신부 지참금 (Bride-price): 모하르는 기본적으로 신랑 또는 신랑의 가족이 신부의 아버지(또는 보호자)에게 지불하는 일종의 대가였습니다. 이것은 돈이나 가축, 재산 등의 형태로 이루어졌습니다.

경제적 보상 및 안정: 신부는 가족의 중요한 일원이자 노동력이었습니다. 신부가 결혼하여 떠나면 친정 가족은 그 노동력의 손실을 입게 됩니다. 모하르는 이러한 손실에 대한 경제적 보상이자, 신부의 친정 가족에게 재정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결혼의 공식화 및 약속: 모하르의 지불은 결혼 약속을 공식화하고 두 가족 간의 연합을 더욱 확고히 하는 중요한 절차였습니다. 이는 단순히 개인 간의 결합을 넘어, 두 가문 간의 사회적, 경제적 동맹을 의미하기도 했습니다.

신부의 가치 및 보호: 모하르는 신부의 가치를 인정하는 표현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이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신부에게 돌아가서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자산이 되거나, 남편에게 이혼당했을 때 신부의 경제적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신부가 결혼 생활에서 보호받고 존중받아야 할 존재임을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장치였습니다.

사회적 지위: 지불되는 모하르의 액수는 신랑 가족의 부유함이나 신부 가족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기도 했습니다.

2. 성경 속의 사례

성경에는 모하르 또는 이와 유사한 풍습에 대한 여러 언급이 있습니다.

야곱과 라헬 (창세기 29): 야곱은 라반의 딸 라헬과 결혼하기 위해 7년 동안 봉사했고, 그 후에 다시 7년을 더 봉사하여 총 14년을 봉사했습니다. 이것은 돈 대신 노동력으로 지불된 모하르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다윗과 미갈 (사무엘상 18): 사울 왕은 다윗에게 블레셋 사람들의 포피 백 개를 가져오면 딸 미갈을 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재산 형태가 아닌, 특별한 형태의 모하르 요구였습니다.

출애굽기 2216-17: 처녀가 남자에게 유혹당하여 동침했을 경우, 남자는 그 처녀에게 모하르를 지불하고 아내로 삼아야 한다는 율법 조항이 나옵니다. 이는 처녀의 명예와 가치를 보호하고, 그 가족에게 합당한 보상을 하도록 규정한 것입니다.

3. 역사적 맥락

모하르는 고대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당시의 다른 근동 문화, 예를 들어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 등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발견되는 보편적인 풍습이었습니다. 함무라비 법전 등 고대 법전에서도 결혼 및 재산 관련 조항에서 이러한 신부 지참금에 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고대 사회에서 결혼이 단순히 두 개인의 결합이 아니라, 가족과 가족, 나아가 사회 전체의 경제적, 사회적 구조와 깊이 연결되어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마태복음 산상수훈 설교말씀] 세상 재물에 대한 예수님 말씀(마태 6:19-24)

 

[마태복음 산상수훈 설교말씀] 세상 재물에 대한 예수님 말씀(마태 6:19-24)

마태복음 6장에서 예수님은 재물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습니다. 산상수훈 교훈을 통해서 예수님은 너희 보물을 땅에 쌓아두지 말라고 말씀합니다. 좀과 동록이 해하고 도둑이 구멍을 뚫고 도둑

kihonsam15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