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샘 성경공부 자료 79

[신구약 성경 성경공부] 신구약 성경 각권 핵심 내용(66권 1189장)

우리가 성경을 읽으면서 가정 우선해야 할 것은 구속사입니다. 성경은 이스라엘 역사 이야기를 하려고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을 신구약 성경에 숨겨 놓았습니다. 예수님을 통해서 구원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습니다. 크리스천들은 맹목적으로 신구약 성경을 읽을 것이 아니라 성경 속에서 하나님이 하시고자 뜻을 깨달아야 합니다. 성경을 많이 다독하는 것도 좋지만 맹목적으로 성경을 많이 읽는다고 해서 하나님의 뜻을 깨닫는 것은 아닙니다. 성령 하나님의 조명을 받아야 합니다. 성경 속에 있는 예수님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성령 하나님의 역사가 필요합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 저자이기 때문에 저자의 의도를 알기 위해서는 저자가 직접 가르쳐 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크리스천들이 성경을 ..

[구약성경 원어성경 해석법] 하나님 말씀에 순종한 노아의 신앙(창 7:5)

창세기 7장에서는 이 세상의 인간들이 타락하여 하나님 말씀을 버리고 살 때 하나님은 홍수로 심판하려고 작정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노아에게 나타나 방주를 지으라고 하셨습니다. 노아는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여 방주를 지었습니다. 방주는 예수님을 상징하는 기구입니다. 방주는 상자라는 의미입니다. 하나님은 노와 돛이 없는 상자를 만들라고 하셨습니다. 방주 안에 들어가면 운행하시는 분은 하나님입니다. 인간의 힘으로 갈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우리의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 안에 들어오면 하나님이 우리의 인생을 인도하여 주십니다. 나의 뜻대로 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는 데로 가야 합니다. 하나님 말씀에 역행하면서 살면 결국 인생은 실패합니다. 하나님은 인간의 뜻대로 사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

[구약성경 성경공부] 구약의 행위 언약과 신약의 새 언약 비교

신구약 성경 66권은 언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과 시내산에서 언약하셨습니다. 하나님 백성으로 언약하셔서 하나님 말씀을 따라 살아가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 말씀을 버리고 우상을 숭배했습니다. 신약은 예수님과 맺은 새 언약입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음으로 맺은 언약입니다. 신약의 크리스천들은 십자가 언약을 믿음으로 구원받았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믿고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다. 성경을 읽으면서 구약의 행위 언약이 무엇인지 신약 성경의 새 언약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겠습니다. 구약의 행위 언약과 신약의 새 언약 비교 언약(Covenent)이란 문자 그대로 두 주체가 쌍방 간에 맺은 약속이다. 단 성경적으로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서 주신, 일방적이며 ..

[구약 성경 지리 성경공부] 현대와 성경의 팔레스타인 성경 지명

우리가 성경을 보면 이스라엘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지도를 통해서 우리가 성경의 역사적 사건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지역을 선택하셔서 구원의 역사를 이루어가셨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이스라엘의 성경 지명을 알지 못하면 성경을 읽을 때 힘들 수가 있습니다. 예수님은 신약의 이스라엘 지역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갈리리와 두로와 시돈과 예루살렘에서 복음을 전파하셨습니다. 천국 복음을 전파하셔서 선택받은 백성을 구원해 주셨습니다. 구약의 이스라엘 지명이 현재의 어떤 지명으로 바뀌었는지를 알면서 성경을 읽으면 성경이 더 이해될 것입니다. 현대와 성경의 팔레스타인 지명 현대 팔레스타인 지역 1948년 5월 14일, 팔레스타인에 대한 영국의 위임통치가 끝나고 영국군의..

[하나님 성경공부] 하나님의 삼위 일체(Trinity)

오늘의 성경말씀은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삼위일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성경에는 삼위일체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습니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잘 나타나고 있는 곳이 신약인데 예수님이 요단강에서 세례 요한의 세례를 받을 때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성부 하나님은 사랑하는 내 아들이라고 하늘에서 들려주셨습니다. 성령 하나님은 비둘기같이 예수님에게 임재하셨습니다. 독생자 예수님은 성자 하나님으로 세례를 받았습니다. 우리는 삼위일체론을 잘 알아야 합니다. 신앙의 근간이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양태론적 삼위일체를 알고 있으면 안 됩니다. 양태론은 한 분 하나님이 성부도 되었다가 성자도 되었다가 성령도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잘못된 삼위일체론입니다. 삼위일체라는 것은 성부 성자 성령께서 각 위로 계시면서 ..

[전도학교 성경공부자료] 능력 전도와 교회 성장에 관한 연구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부탁한 것이 전도입니다. 너희는 복음의 증인이 되라고 했습니다. 세상 끝까지 복음을 전파하라고 하셨습니다. 주님이 이 땅에 오시는 날까지 복음을 전해야 합니다. 교회는 복음을 전파하는 장소입니다. 세상의 유익을 주는 곳이 아니라 복음을 전파해서 영혼을 살리는 곳입니다. 영혼이 살아야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전도는 중요합니다. 우리가 전도할 때 나의 능력으로 현장에 나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으로 나가야 합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능력을 가지고 가서 십자가 복음을 전파해야 합니다. 그럴 때 교회가 새로운 생명으로 채워지게 됩니다. 초대 교회는 복음을 전할 때 많은 능력이 나타났습니다. 우리도 복음을 전함으로 하나님이 기뻐하는 교회와 성도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능력..

[기도에 관한 말씀] 성도들의 기도 시간

성경에서 보면 예수님은 수시로 무시로 기도하셨습니다. 또한 시간을 정해놓고 기도도 하셨습니다. 우리도 기도 시간을 정해 놓고 기도하면 좋습니다. 그러나 수시로 무시로 하나님 앞에서 기도하는 것도 좋습니다. 우리의 생활 속에서 항상 주님과 소통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목 : 기도 시간 마태복음 26:40-46 예수님은 중요한 사건이 있을 때마다 기도하셨다. 그러나 제자들은 그때마다 잠에 빠져 있었다. 변화산에서(눅 9:28-32) 예수님은 기도하시다가 용모가 변화되고 옷이 희어졌다. 그러나 그 시간 제자들은 졸다가 깨어났다. 겟세마네 동산에서(마 26:40-46) 예수님은 땀방울이 핏방울 떨어지듯이 애쓰고 간절히 기도하셨다(눅 22:42). 그러나 그 시간에도 제자들은 졸며 자고 있었다. 왜 ..

[신약성경 공부자료] 사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비유들

오늘은 사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비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수님이 복음을 깨닫게 하시려고 많은 비유들을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비유를 통해서 복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사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비유들 그 자신이 복음 사역의 수행자이시면서 그 복음에 대한 가장 위대한 교사였던 예수님은 교훈이나 설교의 한 방법으로 비유를 즐겨 사용하셨다. 비유란 문자 그대로 어느 한 사물이나 사건을 다른 한 사물에 빗대어 말하는 것이다. 특히 심오하고 난해한 추상적 사상을 일상생활의 친근한 구체적 사물에 빗대어 이해를 돕는 문학적 기법을 말한다. 한편 예수님의 비유는 이와 같이 추상적 진리를 친근하고 쉽게 이해시키는 측면 외에도 특별한 경우, 즉 고의로 복음을 훼방하려 한다거나 아니면 복음을 무시하려는 ..

[탈무드 성경공부] 목동과 다윗 이야기

탈무드에는 자기를 아는 것이 최대의 지혜라고 했습니다. 이 지혜를 바탕으로 목동과 다윗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우리도 세상의 정욕을 부리지 말고 나의 분수를 깨달아 하나님 앞에서 온전하게 살아야 하겠습니다. 목동과 다윗 사울 왕 시대에 한 남자가 젊은 아내를 남겨두고 세상을 떠났다. 그곳의 영주는 전부터 이 젊은 여인을 탐내오던 참이라, 남편이 죽자 여인을 자기 집으로 불러 들이려고 했다. 그 뜻을 따르고 싶지 않았던 여인은 영주 몰래 고행을 떠나기로 작정했다. 그녀는 가진 돈을 몇 개의 항아리에 나누어 담고는 그 위에 꿀을 채웠다. 그리고 증인이 보는 앞에서 죽은 남편과 가장 절친한 친구에게 항아리를 맡기고는 다른 고장으로 떠나버렸다. 그녀가 그 고장을 떠나고 얼마 후, 여인의 꿀 항아리를 맡았던..

[출애굽기 성경공부자료] 출애굽기 서론과 개요 및 기록 연대

출애굽기는 구약 성경 두 번째 책으로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구원하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선택하여 구원하신 것처럼 우리들도 원죄 가운데서 구원하여 주셨습니다. 출애굽기 서론과 개요 1. 명칭 “출애굽기”(Exodus)라는 말은 헬라어 Exodos(엑소도스)로부터 파생된 라틴어인데, Exodos라는 명칭은 출애굽기를 헬라어로 번역한 학자들이 붙여준 것이다. 이 단어는 “벗어남”또는 “죽음”을 의미한다(히 11:22; 눅 9:31 참조). 라틴 역(the Latin Vulgate)과 유태인 철학자 필로(그리스도와 동시대인이었다), 그리고 시리아 역도 이 명칭을 사용하였다.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이 책을 처음 두 단어를 따라 we 'elleh shemoth(웨엘레 쉐모트, ..